-
목차
● 승모근(Trapezius Muscle)에 대한 이해
1. 승모근의 해부학적 구조
승모근(Trapezius muscle)은 등과 목 주변에 위치한 큰 삼각형 형태의 근육으로, 상부, 중부, 하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이는 어깨와 목, 등 상부를 지지하며 다양한 움직임에 기여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
후두골(머리 뒤쪽)에서 시작하여 쇄골(Clavicle)까지 연결됨
주로 어깨를 들어 올리는 역할(견갑거상, Scapular Elevation)
목을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기울이는 기능
중부 승모근(Middle Trapezius):
상부 등(흉추의 중간 부위)에 위치
어깨를 뒤로 당기는 기능(견갑내전, Scapular Retraction)
하부 승모근(Lower Trapezius):
등 하부(흉추 하부)에서 시작하여 견갑골 아래쪽까지 연결
견갑골을 아래로 당기는 기능(견갑하강, Scapular Depression)
이러한 기능 덕분에 승모근은 목과 어깨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2. 승모근이 중요한 이유
승모근은 단순한 어깨 근육이 아니라 자세 유지와 기능적인 움직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세 유지(Postural Stability)
장시간 앉아 있는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승모근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거북목, 라운드 숄더 등을 유발할 수 있음.
반대로, 약해지면 어깨가 처지고 등이 굽어지는 문제가 발생.
어깨 및 목 건강
승모근이 약하면 어깨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해 회전근개 손상과 같은 문제 발생 가능.
지나치게 긴장하면 목 통증, 두통, 어깨 결림이 심해짐.
운동 및 퍼포먼스
웨이트 트레이닝(데드리프트, 로우, 클린 앤 저크 등)에서 중요한 역할.
스포츠 선수들에게 필수적인 근육(농구, 야구, 레슬링 등).● 승모근(Trapezius Muscle)의 역할과 중요성
1. 승모근의 역할: 움직임과 안정성의 중심
승모근(Trapezius Muscle)은 단순히 어깨를 들어 올리는 근육이 아니라 상체의 움직임과 균형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근육이다.
해부학적으로 보면, 이 근육은 후두골(머리 뒷부분)부터 시작해 경추 및 흉추를 거쳐 쇄골과 견갑골까지 넓게 펼쳐져 있으며, 상부, 중부, 하부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처럼 광범위하게 분포된 승모근은 단순한 근육의 역할을 넘어서, 신체의 정렬과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2. 승모근의 주요 기능
견갑골 조절: 어깨를 위로 올리거나(견갑거상), 뒤로 당기거나(견갑내전), 아래로 내리는(견갑하강) 역할을 한다.
목과 머리의 움직임 조절: 승모근 상부는 머리를 좌우로 기울이거나 뒤로 젖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세 유지: 중력에 저항하여 상체를 곧게 펴도록 돕고, 머리와 어깨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승모근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자세 불균형과 근육 피로, 통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장시간 책상 앞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승모근 상부가 과도하게 긴장되고, 중·하부 승모근이 약해지는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불균형이 지속되면 거북목 증후군, 어깨 통증,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사례 1: 거북목 증후군과 승모근 불균형
김 모 씨(38세, 사무직)는 하루 10시간 이상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직장인이다.최근 들어 목과 어깨의 뻐근한 통증을 느끼고 두통까지 발생했다.
병원을 방문한 결과, 거북목 증후군과 함께 상부 승모근의 과긴장과 중부·하부 승모근의 약화가 원인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그는 물리치료와 함께 승모근 중·하부를 강화하는 운동(페이스 풀, 로우 운동)을 병행하며 증상이 점차 완화되었다.
이처럼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서 승모근의 균형은 목 건강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이다.3. 승모근과 어깨·목 건강의 연관성
승모근은 목과 어깨뿐만 아니라 등 상부까지 연결되어 있어, 이 부위의 근육 긴장, 약화, 불균형은 전체적인 신체 기능과 통증에 영향을 미친다.
(1) 승모근과 두통, 목 통증
상부 승모근이 과도하게 긴장되면 **긴장성 두통(Tension Headache)**이 발생할 수 있다.이는 근육이 경직되면서 혈류가 원활하지 못해 두개골 주변의 신경이 압박을 받기 때문이다.
📌 사례 2: 긴장성 두통과 승모근 스트레칭
이 모 씨(45세, 교사)는 하루 종일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면서 칠판을 보고 서 있는 시간이 많다.최근 들어 뒷목이 뻐근하고 머리가 조이는 듯한 두통이 자주 발생했다.
신경과에서 검사한 결과, 스트레스와 함께 승모근 상부의 과긴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의사는 매일 목 스트레칭과 온찜질, 마사지를 병행할 것을 권장했으며, 2주 후부터 두통 빈도가 줄어들었다.
(2) 어깨 관절 건강과 승모근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주요 근육 중 하나가 승모근이다.**회전근개(Rotator Cuff)**와 함께 작용하며, 견갑골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승모근이 너무 강하게 활성화되거나, 반대로 약해지면 어깨 부상의 위험이 커진다.
📌 사례 3: 운동선수의 어깨 부상과 승모근 균형
박 모 씨(27세, 배구 선수)는 서브와 스파이크를 반복하면서 오른쪽 어깨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정밀 검사 결과, 회전근개 손상과 함께 승모근 불균형이 발견되었다.
그는 특정 운동(페이스 풀, 로우 동작)으로 중부·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면서 어깨 안정성을 높였고, 3개월 후 경기 복귀가 가능해졌다.
(3) 승모근과 호흡의 관계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부분이지만, 승모근은 호흡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긴장된 승모근은 흉곽을 위로 당겨 얕은 흉식 호흡을 유발한다.
반대로 승모근이 이완되면 복식 호흡이 원활해진다.
📌 사례 4: 불안 장애와 승모근 과긴장
정 모 씨(33세, 디자이너)는 잦은 마감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가 심했고, 숨이 가빠지는 증상을 자주 경험했다.그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았고, 승모근의 긴장이 교감신경을 과활성화하여 불안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
이후 이완 호흡법과 함께 승모근 스트레칭을 병행하면서 호흡이 점차 안정되었다.
결론: 승모근의 균형 유지가 건강의 핵심
승모근은 단순한 근육이 아니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고, 어깨와 목의 기능을 조절하며, 호흡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승모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전략
1.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마사지: 상부 승모근의 긴장을 완화하고 혈류를 개선한다.
2. 근력 운동을 통한 균형 유지: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여 불균형을 방지한다.
3. 올바른 자세 유지: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20~30분마다 자세를 교정한다.
4. 호흡법 개선: 얕은 흉식 호흡 대신 복식 호흡을 연습하여 긴장 완화 효과를 얻는다.
승모근 건강은 단순한 통증 관리가 아니라,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따라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을 통해 승모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승모근 관련 문제 및 증상
승모근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만큼, 여러 문제와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승모근의 과긴장(hypertonicity), 약화(weakness), 불균형(muscle imbalance)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들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임상 사례와 연구 데이터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승모근 과긴장(Hypertonicity) –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된 경우
📌 특징 및 원인
지속적인 스트레스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승모근이 지나치게 긴장되면서 통증을 유발함.
특히 상부 승모근이 긴장되면 목과 어깨 결림, 두통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스트레스성 근육 긴장(Myofascial Tension Syndrome)**과 연관되며, 교감신경이 과활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 증상
목과 어깨가 뻣뻣하고 뻐근한 느낌
어깨를 움직일 때 불편하거나 찌릿한 느낌
긴장성 두통(Tension Headache) 동반 가능
심한 경우 견갑골 주위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사례 1: 직장인의 만성 어깨 결림
박 모 씨(42세, 회사원)는 하루 10시간 이상 컴퓨터 앞에 앉아 업무를 본다.몇 년 전부터 목과 어깨가 항상 뻐근하고,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 잦아지는 증상을 경험했다.
병원에서 근전도(EMG) 검사를 받은 결과, 상부 승모근이 과도하게 긴장되었고, 중부·하부 승모근이 약화된 근육 불균형이 원인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그는 온열 요법과 마사지, 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서 증상이 완화되었다.
📌 해결책
마사지 및 폼롤러 이용: 상부 승모근을 집중적으로 이완
온찜질: 근육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경직을 완화
바른 자세 유지: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20~30분마다 스트레칭
이완 호흡법 연습: 복식 호흡을 통해 승모근의 과긴장을 줄임(2) 승모근 약화(Weakness) –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약한 경우
📌 특징 및 원인
장기간 운동 부족, 중부·하부 승모근의 기능 저하로 인해 근육이 약화될 수 있음.
노화, 근육 위축, 신경 손상(척수 손상 포함) 등이 원인일 가능성 있음.
특히 하부 승모근이 약화되면 어깨 안정성이 감소하여 회전근개 부상이 증가할 수 있음.
📌 증상
어깨가 처지고 둥글게 말림(라운드 숄더)
등과 목을 곧게 펴기가 어려움
어깨 관절이 불안정해지고, 가벼운 운동에도 피로를 느낌
운동 중 승모근이 개입되지 않고 다른 근육이 보상 작용(ex. 삼각근 과부하)
📌 사례 2: 어깨 불안정성과 승모근 약화
이 모 씨(28세, 테니스 선수)는 몇 개월 전부터 서브를 할 때 어깨가 흔들리고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느낌을 받았다.검사 결과, 중부·하부 승모근이 약화되어 견갑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는 페이스 풀(face pull), 리버스 플라이(reverse fly), Y-레이즈(Y-raise) 운동을 병행하면서 어깨 안정성을 회복하였고, 서브 동작이 개선되었다.
📌 해결책
중·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페이스 풀(Face Pull): 밴드나 케이블을 이용해 중부 승모근 강화
Y-Raise: 하부 승모근과 견갑골 안정성 강화
가벼운 무게로 정확한 자세 유지: 지나친 고중량보다는 정확한 자세로 진행등과 어깨 근육 전반적인 강화: 등 상부뿐만 아니라 광배근, 삼각근도 함께 단련
(3) 승모근 불균형(Muscle Imbalance) – 특정 부위가 과사용되거나 약화된 경우
📌 특징 및 원인
상부 승모근이 과활성화되고, 중·하부 승모근이 약화되는 불균형이 가장 흔함.
특히 장시간 책상에 앉아 있거나,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습관이 원인이 됨.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잘못된 운동 습관(예: 슈러그 과다 수행)**으로 인해 불균형이 심해질 수 있음.
📌 증상
어깨가 위로 들려 있고, 목이 앞으로 쏠리는 자세(거북목, 라운드 숄더)
운동할 때 상부 승모근만 개입되고 중·하부 승모근이 활성화되지 않음
근육 긴장으로 인한 통증 발생
📌 사례 3: 피트니스 트레이너의 승모근 불균형
김 모 씨(35세, 피트니스 트레이너)는 보디빌딩 대회를 준비하며 슈러그(shrug) 운동을 과도하게 수행했다.그 결과, 상부 승모근이 과발달하면서 목과 어깨가 지나치게 긴장되었고, 하부 승모근이 상대적으로 약해졌다.
그는 운동 루틴을 조정하여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추가하면서 자세가 점차 개선되었다.
📌 해결책
운동 루틴 점검: 슈러그 등 상부 승모근을 과도하게 자극하는 운동을 줄이고,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는 운동 추가
바른 자세 유지: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 시 견갑골을 뒤로 당기고 안정적인 자세 유지
정확한 근육 활성화 훈련
스캡션 운동(Scaption): 어깨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유도
리버스 플라이(Reverse Fly): 중부 승모근 및 후면 삼각근 활성화
결론: 승모근의 건강은 균형과 조절이 핵심
승모근은 단순히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이 아니라, 자세 유지와 신체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승모근의 긴장, 약화, 불균형은 다양한 신체 증상을 유발하며, 이를 예방하고 개선하려면 적절한 스트레칭, 운동, 자세 교정이 필요하다.
승모근 건강 관리 핵심 요약
1. 과긴장 예방: 스트레칭, 마사지, 온찜질 활용
2. 근력 균형 유지: 중·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수행
3. 바른 자세 유지: 스마트폰 사용 시 목을 세우고, 의식적으로 어깨를 뒤로 당김
4. 개인별 맞춤 관리: 운동 루틴과 생활 습관에 맞는 균형 유지 전략 필요
승모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미용적 문제를 넘어,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승모근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적 방법
승모근 문제는 단순한 근육 통증을 넘어 자세 불균형, 신경계 과부하, 만성 통증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리치료, 운동 요법, 수기 치료(마사지, 도수 치료), 호흡법,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교정 등의 다양한 해결책이 존재한다.
이 장에서는 승모근의 과긴장, 약화, 불균형을 해결하는 다양한 대안적 방법과 실제 임상 사례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물리치료 및 도수 치료 (Manual Therapy & Physiotherapy)
📌 특징 및 원리
물리치료는 전문가가 직접 근육을 평가하고, 비정상적인 긴장을 완화하며,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주로 견갑골 안정화 훈련, 테이핑 요법, 근막 이완 기법(Myofascial Release), 정형 도수 치료(Orthopedic Manual Therapy) 등이 포함됨.
근전도(EMG) 검사와 근력 평가를 통해 승모근의 불균형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맞춤형 치료가 가능함.
📌 주요 치료법
1. 견갑골 안정화 운동 – 중·하부 승모근 강화로 상부 승모근 과사용을 방지
2. 테이핑 요법(Kinesio Taping) – 승모근의 긴장을 줄이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
3. 근막 이완(MFR) – 단단하게 굳어진 승모근 주변 근막을 풀어줌승모근의 근막 이완법 (Myofascial Release for Trapezius Muscle)
승모근의 과긴장은 **근막(fascia)과 근육의 유착(tight adhesion)**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근막이 경직되면 혈류 저하, 신경 압박, 근육 기능 저하가 일어나며, 이는 만성 통증과 운동 제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근막 이완법(Myofascial Release, MFR)**을 통해 승모근을 부드럽게 풀어주면 근육 긴장과 통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승모근의 근막 이완 원리, 다양한 기법,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2) 근막 이완의 원리
근막 이완법은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을 부드럽게 조작하여 유착을 풀어주는 기법이다.근막은 근육을 감싸는 조직망이며, 지나치게 긴장하면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 TP)**이 형성될 수 있다.
근막 이완의 주요 효과근막의 유연성 증가 → 승모근의 긴장 완화
국소 혈류 촉진 → 산소 공급 증가, 대사 노폐물 배출 향상
신경 감각 개선 → 근육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회복(3) 승모근 근막 이완 기법 (실전 적용 방법)
1. 폼롤러를 이용한 근막 이완 (Foam Rolling for Upper Traps)
방법
1. 폼롤러를 바닥에 두고, 상부 승모근이 닿도록 눕는다.
2. 목을 천천히 좌우로 움직이며 승모근 부위를 자극한다.
3. 30~60초간 유지하면서 천천히 압력을 가한다.
4. 너무 아프면 압력을 줄이고, 호흡을 깊게 하면서 이완한다.
적용 대상
컴퓨터 작업이 많아 승모근이 지속적으로 긴장된 직장인
운동 후 근육 피로가 심한 경우
거북목 증후군으로 어깨와 목이 뻐근한 사람
사례 1: 디자이너 A 씨의 거북목 개선디자이너 A 씨(34세)는 거북목 증후군과 어깨 결림을 심하게 겪고 있었다.
폼롤러를 이용한 근막 이완을 하루 10분씩 2주간 지속한 결과, 어깨 결림이 줄어들었고 자세가 자연스럽게 개선되었다.
2. 마사지 볼을 이용한 자가 근막 이완 (Self Myofascial Release with Ball)
방법
1. 마사지 볼(테니스 공 또는 마사지 볼)을 벽과 승모근 사이에 위치시킨다.
2. 천천히 볼을 누르면서 압력을 가한다.
3. 통증이 느껴지는 지점을 30~60초간 유지하며 천천히 호흡한다.
4. 압력을 줄이면서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준다.
적용 대상
책상 앞에서 장시간 근무하는 사무직 종사자
승모근이 단단하게 뭉쳐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많아 어깨가 자주 뻐근한 사람
사례 2: 사무직 B 씨의 목·어깨 통증 완화사무직 B 씨(41세)는 오랜 시간 컴퓨터 작업으로 인해 목과 어깨가 뻐근했다.
마사지 볼을 활용한 근막 이완법을 매일 5~10분씩 적용한 결과, 한 달 만에 목과 어깨의 가동 범위가 증가하고, 통증이 크게 줄어들었다.
3. 손을 이용한 직접 근막 이완 (Manual Myofascial Release)
방법
1. 손가락이나 엄지를 사용하여 승모근이 뭉친 부위를 누른다.
2. 깊은 호흡을 하면서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3. 통증이 있는 부위를 30~60초간 유지한다.
4. 손가락을 이용하여 승모근 방향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적용 대상
전문 치료사 없이 스스로 관리하려는 경우
즉각적인 승모근 긴장 완화가 필요한 경우
근막 이완 기구 없이 간단한 방법을 원하는 사람사례 3: 요가 강사 C 씨의 목·어깨 유연성 향상
요가 강사 C 씨(29세)는 수업 후 목과 어깨의 피로감을 자주 느꼈다.
손을 이용한 직접 근막 이완을 매일 수행한 결과, 승모근의 긴장이 빠르게 완화되었으며, 어깨의 유연성이 향상되었다.
(4) 승모근 근막 이완 후 스트레칭 및 운동 병행하기
근막 이완을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보다, 근막 이완 후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근막 이완 후 추천 스트레칭
목 기울이기(Neck Tilt Stretch) – 한 손으로 머리를 잡고 반대쪽으로 당기면서 승모근 스트레칭어깨 내리기(Shoulder Depression Stretch) – 어깨를 내리면서 반대쪽으로 목을 기울이기
승모근 스트레칭(Yoga-Based Upper Trap Stretch) –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고 반대편으로 기울이며 스트레칭
근막 이완 후 추천 강화 운동
중·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Y-Raise, Reverse Fly, Face Pull)견갑골 안정화 운동 (Scapular Retraction Exercise)
저항 밴드를 활용한 등 근육 강화 운동
사례 4: 필라테스 강사 D 씨의 승모근 균형 회복필라테스 강사 D 씨(36세)는 상부 승모근이 발달한 반면, 중·하부 승모근이 약했다.
근막 이완과 함께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병행한 결과, 승모근의 불균형이 개선되고, 목과 어깨의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았다.
(5) 승모근 근막 이완 시 주의할 점
과도한 압력 금지 → 지나친 압력은 오히려 근육을 긴장시킬 수 있음
통증이 심하면 즉시 중단 →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면 전문가의 상담 필요
호흡을 멈추지 않기 → 근막 이완 중 깊은 호흡을 유지해야 효과 극대화
근막 이완 후 충분한 수분 섭취 → 노폐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
승모근 건강을 위한 근막 이완의 중요성
승모근의 근막 이완은 단순한 마사지 이상의 효과를 가진다.폼롤러, 마사지 볼, 손을 활용한 직접 이완법을 적절히 조합하면,
근육 긴장 해소
혈류 순환 증가
자세 개선 및 운동 효율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승모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막 이완과 스트레칭, 강화 운동을 병행하는 종합적인 관리법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4. 정형 도수 치료(Chiropractic, Osteopathy) – 어깨와 목의 정렬을 교정하여 신경 압박 감소
📌 사례 1: 승모근 과긴장으로 인한 만성 두통
박 모 씨(42세, 직장인)는 오랜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목과 어깨의 긴장으로 만성 두통을 겪고 있었다.도수 치료를 받은 후, 승모근의 긴장이 완화되었고 두통 빈도가 줄어들었다.
그는 추가적으로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병행하면서 통증이 크게 감소하였다.
📌 대안적 접근 방법
정기적인 물리치료 (한 달에 1~2회)개인 맞춤형 운동 루틴 설계
홈 테라피 (테이핑 및 근막 이완)(6) 운동 요법(Exercise Therapy) – 승모근 균형 회복을 위한 맞춤 운동
📌 원리 및 중요성
중·하부 승모근 강화를 통해 상부 승모근의 과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핵심
근신경 조절 운동을 통해 특정 근육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을 예방
단순한 스트레칭보다는 근력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
📌 효과적인 운동 목록
중·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1. 페이스 풀(Face Pull) – 밴드 또는 케이블 사용
2. 리버스 플라이(Reverse Fly) – 후면 삼각근 및 승모근 활성화
3. Y-Raise – 하부 승모근과 견갑골 안정성 강화
과긴장 완화 및 유연성 향상 운동4. 상부 승모근 스트레칭 (어깨를 아래로 당기면서 머리를 반대 방향으로 기울이기)
5. 견갑골 조절 운동 (Scapular Setting)
6. 승모근의 운동요법 (Exercise Therapy for Trapezius Muscle)
승모근은 상부(Upper), 중부(Middle), 하부(Lower)로 나뉘며, 각 부위별로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운동 처방도 차별화되어야 한다.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 목과 어깨를 들어 올리는 기능 담당
중부 승모근(Middle Trapezius): 견갑골을 뒤로 당기는 기능 담당
하부 승모근(Lower Trapezius): 견갑골을 아래로 당겨 안정화
승모근의 운동요법은 크게 두 가지 목표로 나눌 수 있다.과긴장 된 승모근을 이완하고 부담을 줄이는 운동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여 근육 균형을 맞추는 운동
아래에서는 승모근의 부하를 줄이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운동법과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7. 상부 승모근의 과긴장 완화 운동
현대인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 스마트폰 사용, 잘못된 자세로 인해 상부 승모근이 과도하게 긴장되는 경우가 많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운동은 다음과 같다.
1). 목 기울이기 스트레칭 (Upper Trap Stretch)
방법
1. 한 손을 머리 위에 올려 반대쪽으로 천천히 당긴다.
2. 당길 때 어깨를 내리고, 20~30초간 유지한다.
3. 좌우 교대로 3~5회 반복한다.
효과
상부 승모근의 긴장을 해소
거북목 증후군 개선
사례 1: 직장인 A 씨의 만성 어깨 결림 해소A 씨(35세)는 오랜 시간 컴퓨터 앞에서 작업하면서 어깨가 자주 뭉쳤다.
매일 아침과 저녁 10분씩 목 기울이기 스트레칭을 수행한 결과, 2주 후 어깨 결림과 뻐근함이 크게 줄어들었다.
2). 어깨 내리기 운동 (Shoulder Depression Exercise)
방법
1. 한 손으로 의자를 잡고 어깨를 최대한 내린다.
2. 반대쪽 손으로 머리를 기울여 목을 스트레칭한다.
3. 20~30초 유지 후 반대쪽도 반복한다.
효과
상부 승모근 과긴장 완화
승모근과 주변 근육의 균형 회복
사례 2: 스마트폰 사용이 많은 B 씨의 거북목 개선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B 씨(28세)는 상부 승모근이 지나치게 발달하여 목이 앞으로 튀어나온 거북목 자세를 보였다.
3주간 어깨 내리기 운동을 지속한 결과, 목과 어깨의 부담이 줄고 자세가 개선되었다.
8. 중·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근육 균형 회복)
중·하부 승모근이 약하면 상부 승모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어깨 통증, 두통, 거북목, 승모근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다.따라서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면 어깨 균형을 잡고 불필요한 긴장을 줄일 수 있다.
1). 밴드 리버스 플라이 (Band Reverse Fly)
방법
1. 밴드를 두 손에 잡고, 가슴 높이에서 팔을 벌려준다.
2. 어깨 대신 등 근육을 이용해 견갑골을 조여준다.
3. 천천히 제자리로 돌아오고, 12~15회 반복한다.
효과
중부 승모근 활성화
거북목과 둥근 어깨 교정
사례 3: 헬스 트레이너 C 씨의 어깨 안정성 향상C 씨(30세)는 헬스장에서 벤치프레스 등 가슴 운동을 많이 하면서 어깨가 앞으로 말리는 문제를 겪었다.
밴드 리버스 플라이를 추가한 후 어깨 안정성이 향상되고, 목과 어깨의 불균형이 개선되었다.
2). Y 레이즈 (Y-Raise for Lower Trapezius)
방법
1. 가벼운 덤벨(또는 맨몸)을 이용해 팔을 Y자 형태로 들어 올린다.
2. 어깨보다는 견갑골을 조이는 느낌으로 움직인다.
3. 10~15회 반복한다.
효과
하부 승모근 강화
상부 승모근 부담 감소
사례 4: 필라테스 강사 D 씨의 어깨 균형 회복D 씨(29세)는 상부 승모근이 발달한 반면 하부 승모근이 약해 어깨가 위로 들리는 경향이 있었다.
Y 레이즈를 3주간 수행한 후 승모근의 불균형이 개선되었으며, 목과 어깨의 부담이 줄어들었다.
3). 페이스 풀 (Face Pull)
방법
1. 케이블 머신 또는 밴드를 얼굴 쪽으로 당긴다.
2. 팔꿈치를 높이 올리고, 견갑골을 조이며 당긴다.
3. 천천히 원위치로 돌아가며 10~15회 반복한다.
효과
어깨 후면과 중·하부 승모근 강화
둥근 어깨 교정사례 5: 어깨 불균형을 겪던 E 씨의 근력 향상
F 씨(34세)는 한쪽 어깨가 위로 올라가는 습관이 있어 어깨 통증을 자주 느꼈다.
페이스 풀을 꾸준히 수행한 결과 어깨 균형이 맞춰지고, 통증이 완화되었다.
📌 사례 2: 피트니스 선수의 승모근 불균형 개선
나 모 씨(31세, 피트니스 트레이너)는 슈러그(shrug) 운동을 과도하게 수행하여 상부 승모근이 지나치게 발달했다.그는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추가한 후, 어깨 불균형이 완화되었고, 목과 어깨의 긴장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 대안적 접근 방법
운동 전 근육 활성화 루틴 추가운동 중 올바른 자세 유지 (거울 활용)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균형 있게 조합
9. 승모근 운동 시 주의할 점
상부 승모근을 과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 가슴을 펴고 견갑골을 조이는 느낌으로 운동
호흡을 멈추지 말고 깊게 하면서 운동 수행무거운 무게보다 정확한 자세를 우선시할 것
운동 후 반드시 스트레칭을 병행하여 근육 긴장을 풀어줄 것
결론: 승모근 운동요법을 통한 근육 균형 회복
승모근의 과긴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상부 승모근을 이완하는 운동
중·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는 운동
근막 이완 및 스트레칭 병행이 필수적이다.
올바른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면
어깨와 목의 불균형이 개선되고
통증과 긴장이 줄어들며
자세가 자연스럽게 교정될 수 있다.
승모근 건강을 위해 이완과 강화 운동을 균형 있게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호흡법과 신경계 조절 (Breathing & Nervous System Regulation)
📌 원리 및 중요성
교감신경이 과활성화되면 승모근이 비정상적으로 긴장되므로, 부교감신경 활성화가 중요
복식 호흡, 교차 호흡, 심부 호흡 등을 통해 근육의 이완을 유도
스트레스 관리와 연계하여 근육-신경계 균형을 맞추는 방식
📌 효과적인 호흡법
1. 복식 호흡(Diaphragmatic Breathing) – 횡격막을 활용한 깊은 호흡으로 근육 긴장 완화
2. 4-7-8 호흡법 – 4초간 들이마시고, 7초간 멈춘 뒤, 8초간 내쉬기
3. 교차 호흡(Alternate Nostril Breathing) – 자율신경 균형 회복
📌 사례 3: 승모근 긴장으로 인한 만성 피로 해결
천 모 씨(45세, 공무원)는 승모근의 긴장으로 인해 만성 피로와 수면 장애를 겪었다.그는 하루 2회 복식 호흡을 실천하면서 근육 긴장이 완화되었고, 수면의 질이 개선되었다.
📌 대안적 접근 방법
하루 2~3회 호흡법 연습
명상 및 요가와 병행
스트레스 관리(심리적 긴장 완화)
생활 습관 교정 (Lifestyle Modification) – 장기적 해결책
📌 주요 생활 습관 조정법
1. 올바른 자세 유지
스마트폰 사용 시 화면을 눈높이에 맞춤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20~30분마다 스트레칭
2. 수면 환경 개선
적절한 높이의 베개 선택 (너무 높은 베개는 승모근 긴장 유발)
3. 업무 환경 최적화
모니터 높이 조정, 인체공학적 의자 사용
4. 정기적인 운동 및 마사지
근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주 3~4회 운동
월 1~2회 승모근 마사지 및 도수 치료 병행
📌 사례 4: 거북목 자세 개선
양 모 씨(29세, 디자이너)는 오랜 시간 컴퓨터 작업으로 인해 거북목과 승모근 긴장이 심했다.그는 모니터 높이를 조정하고, 주기적인 스트레칭을 병행하면서 자세가 크게 개선되었다.
📌 대안적 접근 방법
작업 환경 최적화 (모니터, 의자 조정)수면 자세 개선 (적절한 베개 사용)
정기적인 신체 활동 유지● 결론: 맞춤형 관리가 핵심
승모근 문제는 단순한 근육 통증이 아니라 전신적인 건강과 연결된 문제다.
따라서 물리치료, 운동, 호흡법, 생활 습관 교정을 병행하여 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승모근은 어깨와 목, 등 상부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장시간 앉아 있거나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면 과긴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화될 경우 어깨와 목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통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